지난 주말 영화 '파묘'를 봤다. 흥행세가 파죽지세였고, 무엇보다 입소문이 꽤 좋았기에 보기로 했다. 작품에 아쉬운 지점이 없다고 할 순 없겠지만 입소문과 흥행세를 누릴 만한 영화라는 생각이 들었다. 개봉 7일 차인 지난달 28일 손익분기점을 넘었고, 6일 기준 관객 수 660만 명을 기록했다고 하니 최종 관객 수가 어디까지 갈지 궁금해진다.
한동안 냉대를 받았던 한국 영화가 지난해 말 '서울의 봄'을 시작으로 모처럼 관객의 관심을 받고 있다. '파묘' 직전엔 다큐멘터리 영화 '건국전쟁'이 주목을 받았다. 그 화제성은 현재진형형이기도 하다.
개인적으로 '건국전쟁'의 개봉 사실은 여권 인사들의 관람 인증이 이어지면서 알게 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역사를 올바르게 알 수 있는 기회" 라는 감상평을 남겼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도 공개적으로 영화룰 관람했다.
'건국전쟁'을 연출한 김덕영 감독은 어느 인터뷰에서 "이승만 전 대통령의 공(功)은 지우고 과(過)만 부각한 역사 해석, 미처 몰랐던 이승만의 삶과 투쟁에 대해 성찰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제작 취지를 밝혔다.
통상적인 임기를 넘긴 역대 대통령 중 업적이 전혀 없는 이는 없다. 어느 대통령이나 공과가 모두 있고, 업적으로 여겨지는 정책도 긍정 ·부정 평가가 대체로 병존한다.
4·19 혁명으로 물러나면서 이승만 전 대통령의 과가 두드러지고 공에 대한 세간의 평가가 박했다는 시각도 일견 이해된다. 김 감독이 밝힌 제작 취지만 놓고 보자면 볼만한 가치가 있겟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김 감독이 '건국전쟁' 관람을 호소하며 잇따라 내놓은 발언들은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든다. '파묘'의 흥행 조짐이 나타나자 그는 "반일주의를 부추기는 '파묘'에 좌파들이 몰리고 있다. '건국전쟁'에 위협을 느낀 자들이 '건국전쟁'을 덮어 버리기 위해 '파묘'로 분풀이를 하고 있다"면서 "진실의 영화에는 눈을 감고, 미친 듯이 사악한 악령들이 출몰하는 영화에 올인하도록 이끄는 자들은 누구일까요"라고 했다.
일단 '악령이 출몰하는 영화'에 관객이 몰리면 안 된다는 식의 인식은 오컬트 장르는 물론 상상력을 자유롭게 펼쳐 내는 극영화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결여된 지적이다. 해리포터 시리즈에 마법이 나온다는 이유로 반기도교적인 작품이라고 곡해하는 수준이다. 개신교를 향해 '건국전쟁' 관람을 독려 중인 김 감독이 악령 등의 표현으로 경쟁작에 대한 반감을 부추기려는 시도로도 읽힌다.
'파묘;가 민족주의적 요소를 이야기 전개의 핵심 동력으로 삼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를 '반일'로 매도하고 나아가 관객들에게 '좌파' 딱지를 붙이는 것은 확대해서과 논리적 비약이다. 이쯤 되면 이승만 전 대통령이 공과를 객관적으로 또는 균형 있게 다뤘다는 김 감독의 말을 믿기도 어려워진다.
그가 '파묘'를 '좌파들이 보는 영화'로 만들면서 '건국전쟁'은 '우파들만 보는 영화'가 되는 형국이다. 김 감독이 진정 원했던 건 더 많은 관객이 '건국전쟁'을 보는 것이 아니었던가. 한 사람이라도 더 많은 관객을 만나고 싶어 한 감독의 열정이 오히려 관객의 폭을 좁히고 있는 것 같아 아쉽다.
건국전쟁이라는 영화가 흥행을 했나? 이런 영화가 상영하는 줄도 몰랐다. 그냥 건국전쟁 만든 감독이 파묘에 대해 반일 감정 부추긴다고 했다는 기사는 본 적이 있다. 그래서 건국전쟁이라는 영화도 알게 됐다.
주위에 누구하나 건국전쟁 봤다는 사람도 없고 흥행했다는 소리도 들어본 적도 없다. 심지어 영화관 앱에서도 찾아보기 힘들다.
정치인들 특히 대통령이 그 영화를 봤다고 홍보하는 꼴을 보니 굳이 안 봐도 될 것 같다. 이승만 미화하는 영화는 패스!
파묘나 보러 가야겠다.
'오피니언 필사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일보 24.03.12 - [시온의 소리] 나는, 그리고 우리는 누구인가 (3) | 2024.03.12 |
---|---|
한국일보 24.03.09 - 애플은 할리우드 메이저가 될 수 있을까?[라제기의 슛&숏] (0) | 2024.03.09 |
대전일보 24.03.08 - [이코노미 리뷰] 외국인 창업특구, 글로벌 창업의 새로운 터전 (0) | 2024.03.08 |
프레시안 24.03.08 - 성차별이 옛날이야기? 정치의 '흐린 눈'뜨게 하는 게 필요하다 [인권의 바람] (1) | 2024.03.08 |
매일신문 24.03.07 - [박창원의 기록여행] 선거판에 술집·건달패도 한몫 (0) | 2024.03.07 |